목록CS (19)
눈송이의 개발생활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sGqQA/btrYDfDYk1a/k4DY89IBgweyNNw2Jvv1Uk/img.png)
TCP 3-way Handshake TCP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네트워크 연결 설정하는 과정 TCP 접속을 성공적으로 성립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 양쪽 모두 데이터 전송할 준비 되었다는 것 보장 데이터 전달 전, 한 쪽이 다른 쪽이 준비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함 정확한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 상대방 컴퓨터와 사전에 세션 수립하는 과정 seq num은 왜 랜덤? 오류가 나서 동시에 패킷을 2개 보내는 경우, 구별이 안되기 때문에 3-way handshake는 왜 하는걸까?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정확한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서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A(client) 가 B(server)에 연결을 요청하는 경우 1️⃣ A → B : SYN A가 연결 요청 메시지 전송 (SYN) (sequ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JdVU7/btrYtwgEOGl/OVJHkFtMMipLDnHKN4HmC0/img.png)
REST란? REST :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→ 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를 주고 받는 모든 것 인터넷과 같은 복잡한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지침으로 탄생 대규모의 고성능 통신 안정적으로 지원할 수 있음 쉽게 구현하고 수정할 수 있음 → 모든 api 시스템 파악 & 여러 플랫폼에서 사용 가능 웹의 기존 기술 & http 프로토콜 사용 HTTP URI를 통해 자원을 명시하고 HTTP Method(POST, GET, PUT, DELETE, PATCH 등)를 통해 해당 자원(URI)에 대한 CRUD Operation을 적용하는 것 REST 구성 요소 HTTP URI : 자원 모든 자원은 고유 ID를 갖고 있고, 자원은 server에 존재 자원을 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yvMHL/btrYBde8APv/SteyCva3xVm0oUJ3E9q6y1/img.png)
OSI모델과 TCP/IP모델 초기에 컴퓨터들은 자신의 업체 장비들끼리만 연결되어 있어 통신이 불가능했다. 모든 시스템이 상호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서는 통신 규격이 필요했는데, OSI 모델과 TCP/IP 모델이 대표적이다. TCP/IP 프로토콜은 OSI 모델보다 먼저 개발되었다. 그러므로 TCP/IP 프로토콜의 계층은 OSI 모델의 계층과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다. 두 모델 모두 계층형 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며 TCP/IP는 인터넷 개발 이후 계속 표준화되어 신뢰성이 우수인 반면, OSI 7 Layer는 표준이 되기는 하지만 실제적으로 구현되는 예가 거의 없어 신뢰성이 저하되어있다. OSI 7 Layer는 장비 개발과 통신 자체를 어떻게 표준으로 잡을지 사용되는 반면에 실 질적인 통신 자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