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록문법정리 (3)
눈송이의 개발생활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vnMa9/btrqAoI5chn/bYJIm2WseWoj8iK03xS26k/img.png)
List를 String으로 바꾸는 방법 📌 join 함수 리스트에 있는 모든 요소를 합쳐서 하나의 문자열로 바꿔주는 함수 '구분자'.join(list) list = ['a', 'b', 'c', 'd'] print(''.join(list)) # abcd print(' '.join(list)) # a b c d print(','.join(list)) # a,b,c,d 리스트 안의 모든 요소가 string형이 아니면 error가 발생하기 때문에 형변환을 해준 뒤에 join 함수를 사용하면 예외처리 할 수 있다. list = ['a', 'b', 1, 2] print(' '.join(str(e) for e in list)) # a b 1 2 📌 for문 사용 list = ['a', 'b', 'c', 'd'] st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KblI9/btrpPGwWgeC/yGdTGPKZEDepeoKHkXkJp0/img.jpg)
1. 조건문 📌 if const name = 'df'; if (name === 'suah') { console.log('Welcome, Suah!'); } else if (name === 'coder') { console.log('You are amazing coder'); } else { console.log('unknown'); } 📌 ? condition ? value1 : value2 조건이 참이면 value1 출력 조건이 거짓이면 value2 출력 console.log(name === 'suah' ? 'yes' : 'no'); //no 📌 switch 여러개의 if문이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Sx6CG/btrpMP2ewDl/jXLgUH6ADOba6nTJSUfWKK/img.jpg)
1. Data Types 📌 let added in ES6 유일한 변수 선언 명령어 Muttable (read&write) //global scope let name = 'suah'; console.log(name); { //block scope let age = 23; console.log(age); } block scope : {} 블록 밖에서는 블록 안으로 접근할 수 없음 global scope : 전역 변수. application 시작부터 끝까지 메모리에 탑재되어있기 때문에 최대한 덜 쓰는 것이 좋음 📌 var 지금은 잘 사용하지 않는 변수 선언 명령어 선언하기 전에 값을 할당할 수 있음 var hoising : 어디에 변수를 선언했느냐에 상관없이 항상 제일 위로 선언을 끌어 올려주..